홈허브를 받았습니다.
그러면 어떻게 사용해야 할까요?
홈허브를 신청하면 기사분이 오셔서 장비만 덜렁 가지고 코드만 꽃아서 인터넷이 되면 바로 가버립니다.
그럼 뭐 아무 느낌도 안나죠.....
그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요?
일단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켭니다.
그리고 다음 주소로 입력해서 들어갑니다.(비상시를 대비해 즐겨찾기해놓으세요
<홈허브 사용자 페이지>
http://172.30.1.254 - ID : ktuser, PW : megaap
<홈허브 관리자 페이지>
http://172.30.1.254:8899 - ID : ktroot, PW : nespot
솔찍히 사용자 페이지는 사용할 일 없습니다.
관리자 페이지에서 다 되기 때문이죠.
관리자 접근을 막기 위해서 일부러 분리해놓은거 같은데 굳이 그럴 필요가 있었을까요.
다음과 같은 페이지를 보게 됩니다.
< 관리자 페이지 >
(정보는 포토샵으로 가렸습니다. 원래 정보가 뜹니다.)
그럼 [ 장치설정 -> 시스템관리 -> 관리 계정 설정 ] 으로 들어가서 자신만의 관리자 페이지를 만들어봅시다.
다른사람들이 접근하면 안되겠지요. 그러므로 관리자ID와 PW를 변경해 줍니다.
물론 사용자 계정 설정도 변경해주어야 합니다. 그렇지 않으면 누군가 접속해서 네트워크를 변경해버릴수도 있습니다.
자 이제 설정이 끝났습니다.
무슨 기능들이 있는지는 찬찬히 보시고 기본적인 설정을 하기 위해 간편개통설정으로 들어가줍니다.
위에서부터 천천히 보겠습니다.
IP할당정책
- KT모드는 모든 IP를 공인IP로 할당해줍니다. 본 장비는 공유기가 아니라 허브이므로 가능한 기능입니다.
단, 1회선을 신청했다면 1개의 공인IP만 받았으므로 공인IP는 컴퓨터 1대에만 들어갈 수 있고 예외로 인터넷전화와 쿡TV를 신청하셨다면 그곳에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. 하지만 컴퓨터가 2대이거나 유선으로 다른 장비를 사용하시려면 공유기 모드를 해줍시다. 솔찍히 별반 다를건 없습니다. (혹시 쿡TV와 PC를 연결하실분은 반드시 공유기 모드로 설정합니다.)
MAC Clone
- 주 컴퓨터의 MAC주소만 인터넷 연결이 허용될 경우 그 주소를 가지고 인터넷에 연결하는 기능입니다. 왠만하면 비활성으로 둬도 됩니다.
ollehWiFiBasic 활성 여부 / ollehWiFi 활성 여부
- 그냥 비활성으로 둡니다. 무조건
Home WLAN 접속 설정
- 무선 인터넷을 설청하는 창입니다. 무선 LAN이름을 자기가 짓고 싶은데로 지어주시고 보안 설정도 자신이 원하는 방식으로 하시면 됩니다. 귀찮으시면 그냥 저처럼 설정하세요(아래 스크린샷 참조), 그리고 Pre-Shared Key(비밀번호입니다)는 반드시 입력해주세요. 인증보안설정등을 저처럼 설정하셨다면 10자리의 비밀번호를 설정하실 수 있습니다.
(위처럼 설정합시다)
설정을 마쳤으면 보유한 스마트폰이나 노트북을 이용해 접속해봅니다.
잘 된다면 제데로 설정이 된것입니다.
※ 파란색(꼭따리 부러진것) : FTTH에 바로 물린 랜선
※ 일반(꼭따리 안부러진것) : 홈허브에 물린 랜선 (이것으로 연결해야 위 관리자모드 연결됨)
'PC관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하나의 폴더 안에 넣을 수 있는 파일 개수는 얼마나 될까? (0) | 2013.04.12 |
---|---|
Input Director 설정방법 (0) | 2013.03.27 |
구글 크롬 확장 프로그램 Pig Toolbox (0) | 2013.02.15 |
파티션하드를 이용해서 윈도우7(or 윈도우8) 설치하기 (CD, DVD, USB 필요없음) (0) | 2013.02.05 |
모니터 점검 해보세요 (0) | 2013.02.05 |